🏠 인터페이스는 타입을 정의하는 용도로만 사용하라.
인터페이스는 자신을 구현한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참조할 수 있는 타입 역할을 한다.
즉 클래스가 어떤 인터페이스를 구현한다는 것은 자신의 인스턴스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클라이언트에게 얘기하는 것이다.
인터페이스는 오직 이 용도로만 사용해야한다.
💊 잘못된 예시 ( 상수 인터페이스 )
상수 인터페이스 안티패턴은 인터페이스를 잘못 사용한 예시다.
클래스 내부에서 사용하는 상수는 외부 인터페이스가 아닌, 내부 구현에 해당한다.
때문에 상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것은 해당 내부 구현을 클래스의 API로 노출하는 행위이다.
이는 혼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 코드가 내부 구현에 해당하는 상수들에 종속될 수 있다.
이로서 더는 쓰지 않게 되더라고, 여전히 상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있어야한다.
상수를 공개할 목적이라면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한다.
특정 클래스 혹은 인터페이스에 강하게 연관된 상수라면 해당 클래스 자체에서 추가해야한다.
열거타입 (enum) 혹은 유틸클래스로 만든 후 인스턴스화 방지를 해도 된다.
public class PhysicalConstants {
private PhysicalConstants () {} // 인스턴스화 방지
public static final double AVO_NUM = 6.022_140_~
public static final double BOL_NUM = 1.380_648_~
}
유틸 클래스에 정의된 상수를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하려면 클래스 이름까지 함께 명시해야한다. PhysicalConstants.AVO_NUM 처럼 말이다. 빈번하게 사용된다면 정적 임포트해 클래스 이름을 생략해서 사용할 수 있다.
'개인 공부 >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펙티브 자바] 제네릭 메서드 작성법 (0) | 2023.06.26 |
---|---|
[이펙티브 자바] 제네릭 (0) | 2023.06.21 |
[이펙티브 자바] equals 재정의 (0) | 2023.06.13 |
[이펙티브 자바] 상속보다는 컴포지션을 사용하라 (1) | 2023.06.13 |
[데이터 중심 어플리케이션 설계] 설계시 고려사항 (0) | 2023.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