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 주의 흐름
-
- 한 일
- 프로젝트 기획
- 프로젝트 구현
- 프로젝트명: Devit
- 구현 기능
- 로그인, 회원가입 & 소셜 로그인
- CRU (게시물, 북마크, 회원)
- 대시보드
- 프로젝트 배포
- AWS EC2
- AWS S3
- GitHub Action
- 프로젝트발표
2. Keep
- 다음 프로젝트에서도 유지했으면 하는 부분
- 팀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 알고있는 지식들(알고리즘,로직) 전달해주기
- 에러에 대해서 혼자 싸매는 것 보다는 공유하면서 같이 진행
- 외부 템플릿 사용으로 인한 프론트 UI 완성도 향상
- 초기 세팅 단일화
- 문서 기록 ( Notion, Readme )
3. Problem
- 문제점 : 이번 프로젝트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객관적으로 판단
-
- PR 시 코드 리뷰가 되지 못한 점
- 클래스 분리가 잘 안된 점
- 아키텍처에 대한 고민없이 진행 된 점
-
- 해결 방안 : 해당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 제시
-
- 핵심 기능에 대한 자세한 코드 리뷰
- 객체지향형 설계를 신경써서 관리
- 아키텍처에 대한 고민
-
4. Try
- 다음 프로젝트를 위해 해야할 노력
- 자기주도적 학습 ( 객관적인 자기평가와 욕심을 가지고 공부했으면 함 )
- 컨디션 관리 ( 충분한 휴식 )
- 화면 렌더링 시 깜빡거리는 현상 해결
- 작은 단위의 feature 관리 및 자주 PR 올리기
- PR 시 코드 리뷰 진행
5. Feel
- 대희 : 이번 프로젝트는 별 수 없이 프론트 집중적 개발이 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다 보니 이전에 구현했던 기능들과 유사한 기능들을 개발했고 성장했다는 느낌은 받지 못 했다. 그래도 팀원들과 같이 격려하고 응원하며 진행해서 재밌었고 좋은 시너지를 다음 스프링 개발부터 발현할 예정이다. 다른 팀들은 4인으로 구성되었고 다들 하루하루 다르게 실력이 느는거 같아 한 편으로는 부럽기도 했다. 저희도 다른 교육생들보다 더 많이 아는 만큼 더더 성장해서 좋은 영향을 끼치고 싶다.
- 지호 : 저번 프로젝트때보다 다양한 부분들(HTML,CSS,API 등등)을 직접 개발하면서 프로젝트에 대한 내용을 더 이해할 수 있었지만, 여전히 로직과 구현하는 문제에서 어려움을 많이 겪었고 답답했다. 내가 마무리해야하는 부분들인데 도움만 많이 받아서 팀원들에게 죄송스러운 마음이 많이 들었다. 파이썬을 끝내고 자바 스프링으로 넘어가게 되면 부족한 부분들이 더 많아질 것 같은데, 조금 더 깊게 주도적으로 공부해야겠다. 토끼팀 스터디도 열심히해서 재미있는 개발 공부를 이어나가고싶다. 팀원들이랑 전보다 더 소통이 잘 되어서 다행이다.
- 다혜 : 이전 프로젝트까지는 팀원이 다른 팀에 비해 적다는 것에 대한 핸디캡을 느끼지 못했는데 팀원이 다같이 노력했지만 다른 팀에 비해 구현 기능이 적다는 것을 느끼고 팀원이 적다는 것이 큰 차이를 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를 극복하려면 1인분만 한다는 생각이 아닌 더 많은 몫을 해낼 수 있어야겠다. 또한 이번 프로젝트와 저번 프로젝트를 비교했을 때 추가로 배운 점이 배포밖에 없어 많이 아쉽다.
6. 코드
- 두 번째 프로젝트에 대한 깃허브 링크를 추가하며 이상 두 번째 프로젝트 KPT 를 마친다.
- https://github.com/eet43/developIT-backend
'내일배움캠프 > K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미니프로젝트 (Fashiony) - KPT (0) | 2022.04.22 |
---|